IMF 때, 직원들을 해고 시키고, 같이 사표를 쓰고 나와, 관악산 도봉산을 오르내리며, 술을 퍼 마시며 한국을 떠나고 싶었다. 굳이 인사과장이 직원들을 내보냈다고 그만 둬야 할 것도 아니고, 회사 구조조정을 하고 나면 인사과장이 할 일이 너무 많기 때문에 함부로 쫓아 내지도 못한다. 고용보험 신고해야 하고, 인사발령 다 다시 내야 하고, 조직 개편해야 하고, 명예 퇴직금 줘야 하는 등 크고 작은 일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지만, 의리가 있는 사람처럼 사표를 던지고 욕을 먹었다. 공고를 졸업하고 취직이 되지 않아 영등포에서 술 마시고 깡패들과 싸우며 방황하던 적이 있다. 아무리 공장이 많다고 해도, 내로라할 기술 기능도 없는 공고생을 환영할 곳은 많지 않았다. 친구들과 어울려 날마다 술을 마시며 푸념을 하고 돌아다니다가 못된 애들과 패거리가 져서 한바탕 소란을 피우기도 했지만, 그 후 비교적 자신을 돌아보며 살고자 노력했다. 대학 입시에 두 번이나 떨어지고 충무로에서 취했을 때는 정말, 인생을 포기하고 싶던 적도 있다. 공장에서 일을 하며 주경야독(晝耕夜讀)으로 공부를 했는데, 연거푸 2년이나 입시에 떨어지고 나니 희망을 걸 곳이 없었다. 물론, 공장에서 그
지난 2022년 12월22일에 구매한 책이 있다. 한국영상대학교 하우석 교수가 쓴 <내 인생 5년 후>라는 제목의 이 책은 흔한 자기 계발서임에도 묘한 즐거움이 있었다. 나의 의지대로 미래를 창조해내고 예견해볼 수 있다는 기대감을 심어주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였을까, 1주일 사이에 3번을 탐독했고, 신년에 들어서서 4번째 읽고 있다. 그리고 천천히 5년 계획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지금부터 5년 후 당신의 모습을 떠올려보라. 그때도 지금과 같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데 매달려 있다면 어떻겠는가? 그것보다 더 큰 두려움이 있겠는가? 5년 후에도 뻔한 삶을 살고 있다면 모골이 송연해지지 않겠는가? -내 인생 5년 후 30p, 하우석, 다온북스 Determination이라는 단어가 있다. 확고한 투지, 혹은 공식적인 결정 등을 의미하는 이 단어는 또 다른 뜻으로 "결단"을 의미하기도 한다. '결정적인 판단을 하거나 단정을 내림'이 결단의 사전적 의미다. 결단이라는 단어를 처음 생각하게 된 것은 2015년 무렵이었다. 사전적 의미를 모르는 것은 아니나, 습관적으로 결단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분들을 만난 게 그때였다. 사업상 만나는 분들이었는데, 매
엉뚱한 욕심으로 인해 간혹 사기를 당하고 배신의 쓴맛을 보게 되지만, 악몽 같은 악연을 거론하지 않기로 합니다. 절대 만나서는 안 될 사람도 있다는 것을 겪어 보면 알게 되고, 때늦은 후회는 소용이 없지만, 좋은 경험으로 쌓아 둘 수 있습니다. 그러나 또한, 스쳐 지나가는 듯한 사람으로부터 큰 인연이 되어, 생각지도 못한 "변신의 계기"가 되고, 위대한 꿈을 이루기도 합니다. 인간관계에서의 “느낌”이라는 것도 "상호적"입니다. 작년에 만난 두 분으로부터 아니, 예전부터 그런 일이 종종 있었습니다. 그때마다 인생의 "결정적인 전환점 (Crucial Turning Point)"이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이야기이지만, 참고가 될까 하여 정리해 봅니다. 공고 전기과를 다닐 때 영어선생님은 칭찬을 잘 해 주셨습니다. 자상한 눈빛으로 다가와, 여성 같은 음성과 상세한 말씀으로, 늘 칭찬을 해 주셨습니다. 같은 반 친구들이 대부분 영어를 좋아했습니다. 자동차공장에서 기계 일을 할 때 만난 반장님은 항상 매뉴얼을 보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배우고 일을 하셨습니다. 곁에서 보고 배운 게 너무 많았습니다. 세계기능올림픽대회에 나가서 2등을 하신 분인데, 2년 전, 창원에
공저를 집필하는 분 중에 심리학 강의를 하시는 교수님이 계신다. 우연한 계기로 TCI 심리테스트를 받았고, 꽤 놀랄만한 평가를 받았다. 상담을 진행해주신 교수님은 "전 작가님 점수가 저랑 거의 비슷해요." 하고 이야기하셨다. 두려움 지수는 0에 가까웠고, 인내력과 연대감은 100점에 가까웠다. 대부분의 점수가 평균치의 2배 이상 웃돌았는데, 영성 분야 spirituality는 만점이었다. "사이코패스의 기질이 없는 일반인 수준은 되네요." 하고 농을 던지자 "이런 점수는 일반인이 아니고 특별한 사람인 경우예요."하고 이야기하셨다. 마흔을 코앞에 두고 있는 지금, 주머니 사정은 결혼 초에 비해 전혀 달라지지도, 나아지지도 않았다. 오히려 익숙해져 버린 실패와 둔한 경제적 감각 덕분에 더 나빠졌다. 금융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신용불량자 등급 언저리까지 내려갔다가 지금은 조금씩 올라오는 추세다. 나보다 얼빠진 생각으로 사는 사람이 세상에 있는지 의심스러울 지경이었다. 인생이 이렇게 안 풀릴 수가 있는가, 고민하던 시간이 많았다. 꾸준히 사회생활을 해왔더라면 별다른 어려움은 겪지 않았을 것이다. 운명처럼 책도 쓰고 많은 경험을 하긴 했으나, 사업을 한답시고 여기저기
“교육은 혁신과 개인적인 예외주의를 향한 열쇠다 – 멜라니아 트럼프 (Melania Trump: Education is the key to innovation and individual exceptionalism, FOX News, Sept. 8, 2022)” “후손들을 위한 복지는, 시민으로서, 우리가 그들의 학문적 노력을 어떻게 지원하는가에 달려 있다. (The well-being of the next generation depends on how we, as citizens, support their academic efforts)”고 주장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의 글을 읽으며 공감을 합니다. 최근 3년 동안 코로나와 우크라이나 전쟁, 기후변화 등에 의한 “완벽한 폭풍(Perfect Storm)”에 의해 교육시스템에 혼란이 생기고 있습니다. 또한 어려운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으며,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더욱 명확한 “성과 위주의 실적 평가”가 필요해짐에 따라, 어설픈 인기 위주의 정략적 술수에 속지 않으려는 시민의식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국가의 역사는 고통과 비극을 통해 한 단계 성숙해진다는 진리를 잊지 않고 있습니다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일컫는 의학 용어지만, 최근 인터넷 댓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어 중 하나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 쓰인다. 이별 장면을 잘 연기한 드라마를 보았을 때 ’와, 나 헤어졌을 때 생각나서 PTSD 온다.‘ 등 무언가를 보고 떠오른 부정적인 기억과 연관된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정신과 의사가 PTSD를 진단할 때는 훨씬 엄격한 잣대를 들어 진단한다. 정신과 의사들이 PTSD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을 참고하면, 죽음 및 이에 가까운 심각한 외상, 성폭력 등에 준하는 사건을 직접 겪거나 목격하는 식으로 간접 경험한 적이 있어야 한다. 그럴 법한 것이 PTSD라는 질환명 자체가 미국의 남북 전쟁을 거쳐, 베트남 전쟁 후의 생존한 군인들이 보이는 증상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진단명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중에게는 1994년의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5년의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때부터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정신과 의사들은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뒤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공통으로 보이는 세 가지 양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로 재경험, 회피, 과다 각성이다. 낯선 용어지만
언젠가 나에게 던진 질문이 하나 있다. "지금의 생각과 느낌, 가치관, 기준을 그대로 갖고 스무살로 돌아갈 수 있다면 무슨 일을 해보겠는가?" 마흔이 가까워오면서 다양한 제안을 받기 시작했다. 일자리 제안도 그렇고, 관리자로서의 제안도 받는다. 뭔가 의미있는 일들을 하지 않으면 안될 것만 같은 욕구가 올라와서 밤잠을 설친 적도 있고, 기대에 부푼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기도 한다. 공부와는 담을 쌓고 하루하루 의미없는 시간을 보냈던 나, 두 번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슬픈 학창시절의 내모습을 아는 나, 그런 내가 조금은 의미있는 일들을 하고 싶어하고, 다양한 경험들을 생각하고 있음에 마음이 따뜻해짐을 느낀다. 다시 스무살로 돌아갈 수 있다면, 이라는 조건. 당연히 일어날 수 없는 일이고, 그때로 돌아간다고 하더라도 계획대로 되리라는 보장도 없지만, 그러나 솔깃한 제안은 아닐 수 없다. 어떤 결과가 만들어지던지간에, 지금보다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갖고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후회로 가득 찬 10대 시절을 갖고 있는 나로서는, 스무살로만 돌아갈 수 있다면 더 나은 내가 될 수 있을 거라는 분명한 확신을 갖고 있다. 반대로,
나는 얼마큼 자랄까? 키는 우리 모두의 관심사이자 고민일 것이다. 몇 달 새 부쩍 자란 친구들, 성장통을 겪는다는 친구들을 보면 내 키만 그대로인 것 같아 마음이 조급해지기도 한다. 또 많은 아이와 부모님들이 키를 고민으로 성장클리닉에 방문한다. 이번 칼럼에서는 키에 대해 다뤄보고 키를 더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내 또래에 비해 내 키는 얼마 정도일까? 청소년 성장도표를 참고하면, 같은 나이의 아이들 100명 중에 몇 등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4살인 여학생 민희가 150cm라면 민희는 또래 100명 중 75등의 키인 셈이다. 여러분들의 키가 10등에서 90등 사이에 있다면, 우리는 의학적으로 문제 없이 잘 성장하고 있는 것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남아= (아버지 키+ 어머니 키+13cm)/2 (cm) (범위, ±10cm), 여아= (아버지 키+어머니 키-13cm)/2(cm)(범위, ±8.5cm) 많은 의사들이 미래의 키를 결정짓는 요인 중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아 얘기한다. 그렇다면 우리 부모님의 키를 토대로 나의 예상키를 한 번 계산해보자. 위의 식을 이용하면 된다. 하지만, 부모님의 키가
필자는 30년 넘게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신문이 있다. 저녁에는 석간신문을 수시로 사서 읽는다. 매주 서너 번씩 서점에 가서 뉴욕타임즈와 파이낸셜타임즈를 사고, 스마트폰에서 Al Jazeera 와 BBC, CNN 등을 자주 살펴 읽는다. 좋은 칼럼이나 기사는 신문 값보다 100배 이상의 가치가 있음을 느낀다. 글로벌 뉴스와 칼럼을 읽으며 세상의 흐름을 따라가고자 한다. 모든 신문을 인터넷으로 대충 볼 수도 있다고 잔소리하면서, “그까짓 신문을 뭣 하러 읽느냐?”고 핀잔을 주는 친구도 있지만, 종이 신문을 살피다 보면 밑줄을 치면서 읽을 만한 칼럼도 있고, 리더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조언과 충고의 글도 날마다 실린다. 대기업 임원실에는 다양한 종류의 신문들이 매일 쌓이고, 아침 일찍 출근해서 교양서적과 더불어 여러 신문을 상세히 읽는 임원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기업이 정치나 언론보다 앞서간다. 제주 국제공항과 김포공항에서 신문을 사려고 하니 가판대가 보이질 않는다. 화려하고 웅장하게 단장을 한 경부고속터미널에도 먹고 마실 건 가득하지만, 신문은 파는 곳이 없다. 호남고속터미널에는 신문가판대가 있는데, “그 신문은 없습니다”라며 퉁명스럽게 대답을 한다. 국내 여
첫 회사에 사직서를 쓰고 나온 날은 2014년 10월 31일이었다. 그날은 비가 내렸고, 퇴근길 라디오에서는 2pac의 "Life goes on"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빨간색 모닝을 타고 집으로 가는 동안, 앞으로 어떻게 먹고살아야 할지 몰라 한숨만 쉬었다. 자동차 앞유리에 투두둑 떨어지던 빗소리와 축축한 공기, 다소 차갑게 느껴지던 그 순간이 생생하다. 사업을 해보겠노라고 큰소리는 쳐두었으나, 사업이란 걸 해본 적도 없고 아는 사람도 없었다. 동대문에서 몇 벌 떼온 옷을 어떻게 팔아야 하는지 몰라 길거리에 테이블을 깔아놓고 판 적도 있고, 길가던 여대생을 붙잡고 설명하다가 거절을 받은 적도 있었다. 방황의 시간이었다. 2014년 11월 3일에 빨간 모닝을 타고 아내와 둘이서 떠난 가을여행은, 그런 실패의 서막을 마주하기 위하여 떠난 첫 가족여행이었다. 목적지는 전주였다. 가진 것 없이 결혼생활을 시작한 우리는 여행을 떠날 때도 돈이 없었다. 제일 싼 펜션과 게스트하우스만을 골라 다녔다. 담양, 전주 등 포괄적인 목적지를 제외하고는 정처 없이 돌아다니는 수준이었다. 현대와 과거가 공존하는 전주는 지금이나 그때나 우리에게 꿈의 도시였으나, 사고 싶은 걸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