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속초 0.1℃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충주 2.5℃
  • 청주 3.0℃
  • 대전 3.3℃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여수 8.3℃
  • 흐림순천 6.7℃
  • 흐림제주 10.7℃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천안 2.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정책

[전준우 칼럼] 리더의 질문, 리더의 이해

URL복사

 

얼마 전 엄마의 생신으로 고향에 다녀왔다. 다녀오는 길에 아내가 질문을 했다.

“오빠, 어제는 왜 화가 났어?”

 

고향에서 부모님을 뵙고 식사를 나누던 도중 아내와 작은 마찰이 있었다. 사소한 이유 때문이었다.

 

아내의 말인즉슨, 부모님이랑 같이 식사자리에 있으면 대화도 나누고 못다 한 이야기도 해야 하는데, 내가 휴대폰만 보고 있더라는 거였다. 그래서 ‘휴대폰 좀 그만 만져.’ 하고 한 마디 했는데, 한숨을 푹 쉬더라는 거였다. 내 반응에 아내는 “왜 그렇게 예민해?”하고 이야기했고, 나는 부모님이 계신 자리에서 “너는 분위기 파악도 못해?” 하고 일갈했다. 아내는 잠자코 앉아있었다.

 

내 고향은 경북 안동이다. 안동에서 초, 중, 고,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줄곧 타지에서 생활했다. 대학에 다니는 동안에도 그리 열심히 활동하지 않았다. 학과 대표에 여러 동아리 회장직을 겸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공 수업을 빼먹고 놀러 다니기 일쑤였다. 전국으로, 해외로 돌아다니며 다양한 활동을 했다는 게 유일한 자랑거리다. 덕분에 졸업 평점은 4.5점 만점에 3점이 채 안 되었다.

 

아들의 심장소리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사람은 아버지였다. 전화로 “아버지! 산부인과에서 아들의 심장소리를 들었습니다!” 하고 말하며 펑펑 울었던 기억이 난다. 아들이 태어났을 때 할아버지 산소에 찾아가서 눈물을 흘리셨던 분도 아버지였다. 아버지의 친척들은 모두 단명하셨다. 고향에서 아버지는 “내가 예순다섯인데, 우리 친척들 중에 제일 오래 살았다.” 하고 이야기하실 정도였다. 자식 때문에 평생을 단명에 대한 두려움으로 살아오셨을 아버지의 얼굴이 무척 고단하게, 한편으로는 무척 행복하게 보였다. 부모님이 건강하게 살아계심이 인생에 찾아오는 수많은 행복들 중 하나라고 나는 믿는다.

 

그러나 유년시절은 두 번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순간의 연속이었다. 누구는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고 하고, 중고등학교 시절이 가장 행복한 시기였다고 이야기하지만, 나는 그렇지 않았다. 경상도에서 평생을 살아오신 부모님은 상당히 완고한 성향을 가진 분들이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무척 어려워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부모님의 문제만은 아니었다. 1990년대 시절 교사들의 체벌은 당연한 것이었고, 학교폭력이라는 단어 자체가 없던 시대였다. 부드럽고 따뜻한 대화, 마음에 힘이 되고 용기가 되는 이야기를 부모님, 선생님, 친구들과 나눈 기억은 별로 없다. 왕따도, 문제아도 아니었지만 마음은 늘 어두웠다. 힘들고, 어렵고, 수고스럽기만 한 유년시절과 학창 시절을 보냈다. 턱걸이로 집 근처에 있는 지방대학을 겨우 입학한 것도 당시 내 지적 수준에서는 상당한 쾌거였다고 생각해야 할 정도였다.

 

성인이 되고 나서 다양한 활동들을 하며 내가 상당히 외교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난 뒤에야 어린 시절의 어려움들과 수고스러웠던 기억들이 조금씩 이해가 되긴 했다. 그렇다고 해서 고향이 내게 따뜻한 추억으로 남아 있거나 마음에 아련한 슬픔을 주는 곳은 아니었다. 결코 돌아가고 싶지 않은 곳, 상처만 남은 곳, 그다지 정이 가지 않는 곳이었다. 그래서였을까, 고향에 가는 게 즐거운 일만은 아니었다. 부모님이 계시지 않았더라면 두 번 다시는 방문하지 않았을 도시로 내 마음에 남아 있다. 고향이 너무 싫어서, 대학만 졸업하면 어떻게 해서든지 이 시골을 떠나리라 마음먹을 정도였다.

 

사회적으로 크게 성공해서 부모님을 뵈러 가는 거라면 이야기는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늘 마음에 빚을 지고 가는 듯한 기분을 지울 수 없었다. 아마 평생 지고 가야 할지도 모를 마음의 앙금인 셈이다. 게다가 사랑하고 존경하는 부모님이지만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와 같은 기억들 때문에 같이 있어도 딱히 나눌 대화거리가 없었고, 실시간으로 업무를 확인해야 하는 일 특성상 틈틈이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게 습관이 되어 있기도 했다. 그런 상황에서 사소한 말다툼이 발생한 것이었고, 급기야 분위기까지 냉랭하게 만들어버리는 계기가 되었다.

 

어찌 되었건 아내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고, 이는 곧 아내를 이해시키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내 이야기를 들은 아내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오빠에게 왜 화가 났냐고 물은 이유는, 오빠를 이해하고 싶어서 그런 거였어.”

 

경청은 올바른 질문에서 시작된다. 올바른 질문을 하지 않으면 올바른 답이 나올 수 없고, 엉뚱한 대답을 듣게 된다. 당연히 경청이 안 된다. 경청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으면 올바른 대화가 불가능하다. 오랜 시간 동안 교육업에 몸담아왔기에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것과 질문하는 것의 힘이 크다는 것을 안다. 그렇기에 모든 인간관계 속에서 올바른 질문과 이해는 상대방을 내 편으로 만드는 가장 훌륭한 기술 중 하나라고 믿는다.

 

그날 아내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아내는 엄마(시어머니)를 마음 깊이 존경한다고 이야기했고, "내가 좋아서 결혼하기로 한 남편인데 왜 시부모님 앞에서 괜한 면박을 주겠어? 그렇지 않아. 잘 몰라서 이해를 못 했을 뿐이야." 하고 내 마음을 달래주었다. 나의 유년시절에 얽힌 이야기, 부모님에 대한 이야기, 아들을 키우고 가르치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누었다. 시시콜콜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었지만, 실은 무척이나 멋진 경험이었고, 아름다운 시간이었다.

 

미국의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이야기한 것처럼, '삶은 옳고 그름, 정의와 부정에 관한 이견으로 가득하게 마련'이다. 가족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내는 나의 사소한 실수에 대해 지적하고 질책하지만, 나는 지워지지 않는 트라우마와 같은 상처로 가득한 유년시절을 떠올린다. 나는 아내의 잘못에 대해 불편함을 느꼈지만, 사실은 아내에게 문제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서로의 이해관계가 달랐던 것뿐이었음을 알게 된다. 그렇게 우리는 질문하고, 서로를 이해하며, 어제보다 더 나은 리더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