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6 (목)

  • 맑음속초 -0.3℃
  • 맑음동두천 -5.4℃
  • 맑음강릉 1.2℃
  • 맑음서울 -3.6℃
  • 맑음인천 -3.9℃
  • 맑음충주 -2.5℃
  • 맑음청주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2.2℃
  • 맑음전주 0.0℃
  • 맑음울산 2.2℃
  • 흐림광주 2.4℃
  • 맑음부산 4.5℃
  • 맑음여수 1.8℃
  • 구름조금순천 0.0℃
  • 흐림제주 6.3℃
  • 맑음서귀포 7.5℃
  • 맑음천안 -1.6℃
  • 맑음경주시 2.1℃
  • 맑음거제 3.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오피니언

[에듀코어] 킬러 문항서 요구하는 '추론 능력' 키우려면?

URL복사

 

어제(18일)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전반적으로 작년 수능과 유사한 수준이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눈에 띄는 킬러 문항은 없었지만 철학자 헤겔의 미학을 소재로 다룬 4∼9번도 고난도 문제로 언급됐다. 또 지난 6·9월 모의평가에서 나오지 않은 빈칸추론 유형이 수학영역에서 요구되는 문제로 학생들의 체감 난도가 상당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동안 변별력을 가르는 킬러 문항을 논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것이 추론 능력이다. 그렇다면 추론 능력이란 무엇을 말하고 어떻게 하면 이러한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인가?

 

모든 사물은 시간과 조건에 따라 모양과 형태, 성질을 달리한다. 사물뿐만 아니라 사람도 변화한다. 신체적인 변화는 세포가 변화하고 있다는 증거이며, 사람의 생각도 매순간 변화한다.

 

우리가 사는 복잡계는 이처럼 변화무쌍하다는 특징이 있다. 추론 능력은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힘에서 비롯되며. 유연한 사고에서 자라난다. 즉,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변화를 이해할 때 추론 능력이 길러진다.

 

역사는 바로 변화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사례다. 실타래처럼 엮인 무수한 사건에 대한 변화의 요인들을 이해하고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고 짐작할 수 있다.

 

이 추론 능력을 어떻게 키울까? 우선은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계절의 변화, 가족들의 변화, 집안 환경의 변화 등등 이러한 변화를 아이가 스스로 느껴볼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그 변화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의 변화를 인지한다는 것은 자신의 행동이나 역할에 대한 직시이며 존재에 대한 인식이다. 따라서 아이들 스스로가 그 변화의 요인이라는 것을 깨닫고 하루하루 자신의 생각과 행동거지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이는 세상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확장된다.

 

아이들에게 논리 교육을 한다는 것은 아이들이 세상을 볼 때 자신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상과 상황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에 대한 ​창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아이들에게 논리적 사고력을 길러주고 싶다면 세상의 변화를 이해하는 힘부터 길러줘야 하는 이유다.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야 다른 사람도 이해시킬 수 있다. 다른 사람을 이해시키거나 설득하기 위해서는 논리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연합뉴스와 인터뷰한 교육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수능에서 우려했던 문과 약세가 뚜렷하게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수학이 어려웠고 영어마저 까다로워서 문과생의 수능 1·2등급 진입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 이과 상위권 학생이 문과 교차지원 가능성이 생긴다면 문과 학생들의 입지는 더 좁아지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대체로 2021학년도 수능 국어영역은 전년도 수능 대비 난도가 평이했다는 게 중론이다. 다만 ‘트리핀 딜레마’를 소재로 한 사회 지문 10∼13번을 고난도로 꼽으며 이 문제들이 수험생들을 괴롭히고 답도 많이 갈렸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트리핀 딜레마란 미국이 기축통화로 자국 달러를 쓰며 국제수지 적자를 계속 안고 가는 상황을 일컫는다. 생소한 경제이론을 단시간에 이해해 풀어야 했던 만큼 수험생 입장에서 당혹감이 컸을 거란 얘기다.

 

입시업체들은 특히 지문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에 제시된 사례를 분석한 뒤, 적절한 반응을 골라내야 하는 13번을 가장 어려운 ‘킬러 문항’으로 꼽았다. 진학사는 “학생들이 낯설어하는 내용에 더해 비교하는 보기가 제시돼 시간이 많이 걸렸을 것”이라고 봤다. 메가스터디교육은 “제시문을 바탕으로 보기의 사례 적용해 추론하는 방식이어서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그만큼 수능에서 변별력을 가르는 킬러 문항에 추론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대세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