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속초 25.2℃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구름많음충주 24.6℃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흐림순천 24.5℃
  • 제주 24.5℃
  • 구름많음서귀포 29.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랑의실천 헌혈

“70세 넘어도 헌혈 가능할까? 헌혈 정년, 현실과 괴리”

“건강한 70대, 여전히 헌혈할 수 없다”
저출산·고령화에 혈액 수급 비상 헌혈 정년, 나이 아닌 건강 기준으로 바뀌어야”

URL복사

헌혈에도 나이 제한이 있다. 현재 기준 69세. 그러나 기대수명이 84.5세인 지금, 팔팔한 70대 이상도 헌혈할 수 없어 혈액 수급이 점점 불안해지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헌혈 인구는 줄고, 수혈 수요는 증가하는 상황에서 헌혈 정년 제도의 현실 반영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1971년 도입된 헌혈 정년은 당시 64세였지만, 기대수명이 62.7세에 불과했던 시대적 배경과 맞아떨어졌다. 2009년 69세로 연장됐지만, 최근 기대수명(84.5세)의 증가와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70대는 “아직 팔팔한데 왜 헌혈을 못 하게 하느냐”며 아쉬움을 토로한다.

 

 

 

혈액은 기술로 대체할 수 없는 자원이다. 성인 기준 4000~5000mL 정도 흐르는 혈액은 회당 320~400mL 헌혈을 통해서만 보충 가능하며, 외국에서 수입할 수도 없다. 보존 기간이 며칠에 불과해 국가 간 운송이 어렵고, 감염병 전파 우려 때문에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도 혈액 상업 거래를 금지하고 있어 국내 자급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혈액 수급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저출산으로 헌혈자가 감소하고, 고령화로 수혈 수요는 늘고 있다. 10년 전 308만 건이던 헌혈 건수는 지난해 285만 건으로 줄었고, 2050년에는 헌혈은 46% 감소, 수혈은 39% 증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헌혈 정년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근로 정년이나 계급 정년처럼 자원을 배분하는 목적과 달리, 헌혈 정년은 건강만 확인되면 굳이 나이로 제한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헌혈 참여가 건강 관리와 정기 검진 효과를 가져오며, 연령과 혈액 건강 사이의 직접적 상관관계는 의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는 헌혈 정년을 두지 않는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헌혈 정년 완화를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정부는 헌혈 인구 감소 문제에 대응하고, 건강한 고령자도 계속 헌혈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문가들은 “남의 생명을 위해 헌혈하려는 선의에는 나이가 없다”며, “개인의 건강 상태만 확인되면 정년으로 헌혈을 막는 것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