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국감] 2022영재학교 입학생 60.5%가 서울·경기 출신

2021.10.22 12:22:44

서울지역 입학생, 강남·양천·서초·송파 편중

 

전국 8개 영재학교 합격예정자 838명 중 서울/경기 지역 출신이 507명으로 전체의 60.5%를 차지해 수도권 쏠림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정책자료집(수도권에서만 영재가 나는 불편한 진실)에 따르면 2020학년도 전국 영재학교 입학생의 68.5%가 서울·경기 출신이다. 2021학년도 입학생 중에서도 서울·경기 출신은 67.6%를 차지했다.

 

이번 정책자료집은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함께 제작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경기과학고·광주과학고·대구과학고·대전과학고·서울과학고·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한국과학영재학교 등 8곳이다.

서울·경기 출신 입학생 중에서도 편중 현상이 심했다. 서울의 경우 강남·양천·노원·서초·송파 등 이른바 교육특구 출신이 서울지역 입학생(322명)의 61.5%(198명)를 차지했다. 경기도의 경우 성남·고양·용인·안양·수원 등 5개 시가 경기지역 전체 입학생(245명)의 66.5%(163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강득구 의원은 “영재학교는 지역별로 균형 잡힌 영재교육을 실시한다는 목적으로 전국에 거점별로 8개가 운영 중이지만 입학자 3분의 2가 서울과 경기 지역 출신”이라며 “이 중 60~70%가 사교육 과열지구 출신인 점은 대한민국 영재교육이 사교육의 영재 양산 방식에 의해 왜곡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과 사교육 걱정없는세상은 해당 자료집에서 해결책으로 지필고사 폐지, 지원자가 속한 광역권 영재학교 1곳에 지원 등을 제시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각 시도교육청에 영재발굴센터를 설치, 선발과 교육을 분리하고 연중 상시 선발로 바꿀 것을 주장했다.

강 의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적 영재를 육성해야 한다”며 “상시적 영재 발굴과 육성이라는 관점에서 시도교육청의 역할을 강화하고,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의 진학 유도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화 기자
Copyright @2019 아름다운교육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10-12(안전BD601) | 등록번호: 서울 아 01967 | 이메일: helloedunews@naver.com 발행처: 아름다운 교육 신문사 | 회장: 김성이(전 보건복지부 장관) | 발행·편집인: 곽선영 | 전화번호 : 02-2279-9000 Copyright ©2019 아름다운교육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