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올해 6월 출생아 수 증가율 전국 시도 중 1위… 혼인 건수도 증가

2025.08.27 16:30:02

지난해 출생아 수는 1만 3천63명, 합계출산율 0.68명

 

(아름다운교육신문) 부산시는 올해(2025년) 6월 출생아 수가 1천114명으로 나타나, 전년 동월 대비 전국 시도에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972명) 대비 142명 증가했고, 증가율은 14.6퍼센트(%)다.

 

통계청이 오늘(27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6월 전국의 출생아 수는 1만 9천953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전국 평균 증가폭은 9.4퍼센트(%)다.

 

지역별로는 ▲부산(14.6%)에 이어 ▲대전(13.3%) ▲광주‧충북(12.1%) ▲경남(10.9%) 순이다.

 

이와 함께, 부산의 올해 상반기 출생아 수(누계)는 6천904명으로, 전년 동기간(6천423명) 대비 481명(7.5%↑) 많았다.

 

아울러, 부산의 올해 6월 혼인 건수는 96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5건, 12.3퍼센트(%) 증가했다.

 

상반기 혼인 건수(누계)는 6천255건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565건, 9.9퍼센트(%) 증가했으며, 전국 평균 증가율(7.1%) 대비 2.8퍼센트포인트(%p)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통계청은 지난해(2024년) 출생 통계 확정자료도 발표했다.

 

부산의 경우 지난 2월 잠정 발표와 같은 출생아 수 1만 3천63명(전년대비 197명↑), 합계출산율은 0.68명(전년대비 0.02명↑)으로, 9년 만에 동반 반등했다.

 

구・군별 출생아 수는 ▲부산진구(1천613명)가 가장 많았고 ▲해운대구(1천430명) ▲동래구(1천208명) ▲북구(1천149명) ▲사하구(1천23명) 순이다.

 

구・군별 합계출산율은 ▲강서구(0.97명)가 가장 높았고 ▲기장군(0.88명) ▲동래구(0.76명) ▲영도구(0.75명) ▲북구(0.74명) 순이다.

 

이러한 저출생 반등 추세는 그동안 시가 추진해 온 결혼·임신·출산·육아에 이르기까지 생애주기별 부산형 맞춤 정책의 역할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분야별 주거 정책으로, ▲(주거) 신혼부부 주택융자 및 대출이자 지원, 신혼부부 럭키7하우스 지원, 2자녀 이상 신혼부부에게 공공임대주택 임대료를 평생 지원하는 ‘평생함께 청년모두가(家)’ ▲(결혼) 공공예식장 작은결혼식 지원, '나의사랑, 나의 결혼' 결혼식 지원 ▲(임신) 임산부 콜택시 마마콜 운영, 임산부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임산부 친환경농산물꾸러미 지원, 남녀 난임 종합 지원, 가임력보존의료비 지원, 임산부 배려석 알리미 핑크라이트 운영

 

▲(출산) 부산형 산후조리비 지원, 둘째 이후 출산지원금 지원, 출산 가정에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지원 ‘아이조아, 부산조아’ ▲(보육・양육) 어린이 대중교통요금 무료화, 부산형 영영아반 운영, 부산형 365열린 시간제 어린이집 운영, 어린이집 필요경비(현장학습비, 특별활동비) 지원, 부산형 입원아동 돌봄서비스, 부산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15분 생활권 내 부산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들락날락’ ▲(다자녀 혜택)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및 공공시설 이용료 감면 등이 있다.

 

시는 하반기에도 출산·양육가정에 힘이 되는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해 저출생을 극복하고 양육에 대한 부모 부담을 줄이며, 함께 키우는 출산·양육 친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출산·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임산부·영유아 가족이 함께하는 ‘핑크문화데이(월 1회)’ 운영, ▲'행복한 우리 가족, 부산 사계(四季) 이야기' 달력 그림 공모전(8.~11.) ▲시와 구·군 아빠단 협동프로그램 ‘함께 육아해요’(9.14.) ▲시민 참여형 저출생 대응 캠페인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10.24.~25.)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오는 10월 중 지역 밀착형 영유아 전용 놀이공간인 ‘당신처럼 애지중지 공공형 키즈카페’가 시민공원 내에 개소할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우리시의 미래인 만큼, 앞으로도 저출생 반등 흐름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아이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웃을 수 있고, 부모가 부담 없이 아이를 양육할 수 있는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시정의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김수희 기자
Copyright @2019 아름다운교육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10-12(안전BD601) | 등록번호: 서울 아 01967 | 이메일: helloedunews@naver.com 발행처: 아름다운 교육 신문사 | 회장: 김성이(전 보건복지부 장관) | 발행·편집인: 곽선영 | 전화번호 : 02-2279-9000 Copyright ©2019 아름다운교육신문 All rights reserved.